레이블이 파워포인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파워포인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5월 5일 목요일

구글 슬라이드에 Q&A 기능 추가됐다

주위에 발표자료를 구글 슬라이드로 만드는 분은 극히 드물다. 대부분 파워포인트를 이용해 발표자료를 예쁘게 만든다. 경쟁입찰이나 경진대회 발표자료라면 파워포인트로 멋지게 만들면 아무래도 눈에 띈다. 다만 자료 만드는데 품이 많이 드는 게 흠이다. 그래서 현대카드 정태영 부회장은 “파워포인트로 보고하지 마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필자는 대개 의미 전달을 위한 발표자료를 만들기 때문에 파워포인트보다는 구글 슬라이드(프리젠테이션)를 사용한다. 기능은 파워포인트에 뒤지지만 나름대로 강점이 있다. 간편하다는 점, 클라우드 서비스라서 발표 직전까지 쉽게 고칠 수 있다는 점, 링크만으로 공유할 수 있다는 점 등등… 여기에 멋진 강점 하나가 추가됐다. 간편하게 청중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기능이다. 심플로우와 비슷한 기능이 추가된 셈이다.

구글이 4일 슬라이드 Q&A 기능을 런칭했다. 발표하면서 이 기능을 이용하면 청중의 질문을 바로바로 받을 수 있고 답해줄 수 있다. 발표자가 ‘Presenter View’로 발표를 시작하면 화면 상단에 ‘Ask a question at goo.gl/slides/xxxx’ 형태의 링크가 뜬다. 폰/태블릿/노트북 브라우저 주소창에 이걸 입력하면 바로 질문 사이트가 뜬다. (구글 로그인은 필수). 남이 올린 질문을 모두 볼 수 있고 맘에 드는 질문에 ‘좋아요'를 누를 수도 있다. 직접 질문을 올릴 수도 있다. 질문자 이름이 노출되는 게 싫으면 ‘익명으로 질문 올리기'를 선택하면 된다. 발표자는 선택을 많이 받은 질문부터 답할 수 있다.

슬라이드 화면을 보면서 설명하면 이해가 쉬울 것 같다.

슬라이드1.jpg
지난 4일 벤처스퀘어가 코엑스에서 연 ‘GSC 2016’ 발표자료다.

슬라이드2.jpg
청중의 질문을 받고 싶다면 ‘Presenter View’를 택한다.

슬라이드3.png
질문 화면 접속. 처음이면 ‘Start new’, 처음이 아니면 ‘Continue recent’.

슬라이드5.jpg
발표 화면 상단에 청중이 질문을 올릴 수 있는 사이트 주소가 뜬다.

슬라이드6.jpg
발표자가 질문을 확인하려면 키보드 ‘s’를 누르면 된다.


슬라이드에 ‘레이저 포인터' 기능도 추가됐다

One more thing. 구글은 ‘레이저 포인터' 기능도 내놓았다. 발표화면 좌측하단에 마우스를 대면 메뉴가 뜨고 레이저 아이콘을 누르면 아이콘이 빨간 색으로 바뀌면서 포인터가 활성화된다. 이 포인터는 발표자가 마우스를 움직이면 따라서 움직인다.

슬라이드7.jpg

구글 슬라이드. 익숙해지면 편하다. 굳이 아까운 시간을 들여 파워포인트로 예쁘게 만들지 않아도 된다. 호환에도 문제 없다. 남의 컴퓨터를 이용해 발표할 땐 슬라이드 자료를 파워포인트 파일로 내려받아 메일로 보내주거나 USB에 담아 가면 된다. 이번에 내놓은 ‘슬라이드 Q&A’는 또 하나의 매력 포인트가 될 것 같다. (광파리)

2014년 3월 26일 수요일

구글 슬라이드 작업화면에서 이미지 편집하기


요즘엔 발표자료 만들 때 ‘구글 슬라이드(프리젠테이션)’를 자주 사용하는데, 구글이 몇 가지 ‘이미지 편집'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슬라이드 작업화면 내에서 적정 크기로 자르고, 적당한 모양으로 자르고, 사진 테두리에 선을 두르고 색을 칠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사진을 그냥 붙이기만 했는데 좀더 보기 좋게 다듬을 수 있게 됐습니다.

이미지1.png
사진을 불러와 슬라이드 편집화면에 붙인 첫 모습입니다.

이미지2.png
자르기 메뉴를 누른 다음 상하좌우를 적당한 크기로 사진을 자르는 과정입니다.

이미지3.png
그냥 사각형으로 자르지 않고 원하는 모양으로 자를 수도 있습니다.

이미지4.png
사진 가장자리에 선을 두를 수도 있습니다. 선의 모양, 굵기, 색상은 선택 가능.

이미지5.png
사진 크기를 조절하고 수평/수직 가운데맞춤을 해 편집을 끝낸 모습입니다.


덧붙입니다. 제가 구글 닥스(문서), 구글 쉬트(표식계산), 구글 슬라이드(발표자료) 등 구글드라이브를 사용하는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클라우드 프로그램’이어서 폰이나 태블릿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고, 기능이 단순해서 쉽게 익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종래 파워포인트를 사용하다가 2, 3년 전부터 주로 구글 슬라이드를 쓰고 있습니다. [광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