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리눅스재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리눅스재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1월 1일 화요일

"타이젠폰 올해 나온다" 요미우리 보도


삼성이 올해 NTT도코모를 통해 타이젠폰을 내놓는다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12월30일 보도했습니다.
새로운 내용은 없지만 오랫만에 보는 타이젠 기사입니다.
당초 타이젠폰이 작년말/금년초에 나올 거라고 했는데
아무런 소식이 없어 궁금하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타이젠(Tizen) 아시죠?
삼성과 인텔이 리눅스재단과 함께 개발중인 운영체제(OS).
이걸 탑재한 “타이젠폰"이 올해는 세상에 나오려나 봅니다.




요미우리 보도 내용. (영어, 일본어)
NTT도코모가 삼성전자 등과 함께 새 OS를 개발하고 있다.
스마트폰 OS는 구글과 애플이 90%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들에 맞서는 비즈니스 그룹을 형성하는 게 궁극적 목표다.
도코모가 파트너들과 함께 개발하는 OS의 이름은 타이젠.
소식통에 따르면 삼성이 2013년에 (타이젠)폰을 내놓는데
일본과 다른 국가들에서 비슷한 시기에 발매할 거라고 한다.
애플 iOS와 달리 타이젠에서는 기본 기술 정보를 공개하고
이통사들이 자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게 전제다.
가트너가 집계한 작년 3분기 스마트폰 OS 점유율은
안드로이드가 72.4%, iOS가 13.9%였다.
타이젠 개발에는 유럽 이통사들도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게임/음악 유통과 같은 폰 관련 비즈니스 헤게모니를
두 미국 회사가 움켜쥘까 우려한다.
도코모는 일본 3대 이통사 중 유일하게 아이폰을 팔지 않는다.
그 결과 작년 11월 이탈자가 가입자를 추월하기에 이르렀다.
도코모는 타이젠폰이 이런 흐름을 바꿔놓을 것으로 기대한다.
타이젠 주요 개발사는 삼성과 인텔이다.
도코모 외에도 영국 보다폰, 프랑스 텔레콤 등 유럽 이통사들,
파나소닉, NEC 등도 타이젠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타이젠은 오픈소스라서 사용자들이 추가 개발/개선할 수 있다.
이 OS용 앱 개발도 좀더 단순할 것이라고들 기대하고 있다.




여기까지입니다. 보시다시피 새로운 내용은 거의 없습니다.
요미우리가 왜 이 기사를 썼는지 궁금합니다.
출시가 임박한 것인지... 그런데 발매 시기가 애매합니다.
그냥 “내년(2013년 올해)”이라고만 씌여 있습니다.
요미우리 기사는 타이젠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일본/유럽 이통사들의 의도를 비교적 쉽게 설명했습니다.
삼성은 타이젠 개발을 주도하면서도 앞에 나서지 않습니다.
타이젠이 특정 업체 OS가 되면 성공하기 어렵기 때문이겠죠.
현재 모바일 OS는 구글 안드로이드가 주도하고 있지만
안드로이드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한계를 안고 있습니다.
구글에 의존하는 OS라서 기능적으로 제한을 받을 수 있고,
폰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전자제품은 물론 사물도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시대에는
어떤 기기에도 탑재할 수 있는 범용 OS가 필요합니다.
타이젠연합은 이런 필요에 의해 2012년 5월 출범했고
지금은 상용 폰 공개 시점을 생각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광파리]

제가 작년 5월에 썼던 타이젠 관련 기사를 링크합니다.
[2012.5.9] 개발자용 타이젠폰 공개됐다
[2012.5.9] 타이젠에 대한 다양한 반응



(추가) 비즈니스인사이더는 타이젠 개발에 대해
삼성이 구글과 애플 손아귀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 봤군요.

삼성으로서는 속내가 들켜 뜨끔하겠지만 사실일 거라고 봅니다.
내용을 간추리자면,
리눅스 기반 오픈소스 OS란 점에서는 안드로이드와 비슷하나
구글이 좌우하는 게 아니고 인텔-삼성-NTT도코모 등이 주도한다,
안드로이드 대안으로 추진했던 미고(MeeGo) 실패 후 등장했다,
노키아는 인텔과 함께 미고 추진하다가 윈도폰으로 바꿨다,
삼성은 자체적으로 추진해온 바다를 타이젠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타이젠폰은 당초 2012년 중에 나온다고 했는데 삼성이 지난 여름
안드로이드와 윈도에 집중한다며 타이젠폰 출시 일정을 늦췄다,
그러자 타이젠도 미고처럼 죽게 될 것이란 기사도 나왔다,
요미우리신문이 기사를 쓴 걸 보면 그렇게 되진 않을 것 같다,
설사 타이젠폰이 나온다 해도 앱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는 한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심지어 윈도폰을 대체하기엔 미흡할 것이다,
그렇지만 타이젠은 리눅스재단이 지원하는 프로젝트이다,
삼성은 지난해 재단에 회비 50만 달러(5억3200만원)를 내고
프리미엄 회원 자격을 획득했고 재단 이사 자리까지 차지했다.

2012년 5월 9일 수요일

타이젠에 대한 다양한 반응

개발자용 타이젠폰 공개됐다... 후속입니다.

* 왜 타이젠이냐고? 타이젠에는 구글이 없으니까. (링크)

* 삼성은 안드로이드 의존도를 낮추려고...
 인텔은 모바일에 진출하려는 야망 실현하려고...(링크)

* 타이젠은 파급효과를 가져오지 못할 것...
 미고(MeeGo) 전철을 밟을 것이다. (링크)

* 삼성은 안드로이드 이후를 생각하고 있다. (링크)
* 안드로이드보다 쓸모가 없다. 내이티브 앱이 없다니. (링크)
* 삼성 1년내 바다OS와 바다폰 단종 예정이란 루머. (링크)
* ZTE, 화웨이, 파나소닉도 참여한다. (링크)
사이트 링크

* 바다 점유율이 윈도폰의 2배다.
 삼성이 바다를 밀어부치지도 않았는 데도 그렇다.
 이제 삼성은 타이젠 연합으로 간다. (링크)

* 바다든 타이젠이든 틈새시장 차지하는데 불과할 것이다. (링크)
* 미고는 완전히 죽었다, 타이젠 만세! (링크)
* 페이스북이 타이젠에 기대하는 건 HTML5 브라우저 때문. (링크)
* HTML5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타이젠이 1위. (링크)


* 컨퍼런스 참석자들에게 타이젠폰 프로토타입 1대씩 줬다. (링크)




* 발표내용: 타이젠 2.0이 금년말/내년초에 나온다. (링크)



개발자용 '타이젠폰' 공개됐다


개방형 멀티플랫폼 “타이젠”이 공개됐습니다.
이를 탑재한 개발자용 타이젠폰도 나왔습니다.
어제 아침 10시 타이젠 개발자 컨퍼런스 개막.
미국 샌프란시스코 시간으론 7일 저녁 6시.
리눅스재단-삼성-인텔이 주도하는 컨퍼런스죠.
타이젠 공동의장 회사인 삼성과 인텔 간부가
기조연설을 하기로 돼 있었는데
삼성전자 최종덕 부사장 연설은 하루 연기돼
8일 오전에 있었습니다. 한국시간 9일 새벽.

놀라운 것은 한국에서는 거의 강건너 불구경...
개발자용이긴 하지만 타이젠폰이 나왔는데
우리나라에선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인텔오픈소스기술센터장의 기조연설과 함께
컨퍼런스가 시작됐고... 이 무렵 폰이 공개됐죠.
타이젠톡 사이트에 타이젠폰 사진 5장 게시.
플리커에 컨퍼런스 및 폰 사진 12장 게시. 헨드헬드란 사이트에는 7분 시연 동영상 게시.

삼성 미국법인 사이트에도 사진/동영상 게시.
트위터에서 Tizen을 검색했더니
타이젠폰에 대한 반응이 각종 언어로 나오던데
안타깝게도 한글 트윗은 거의 찾지 못했습니다.

아시다시피 타이젠은 개방형 멀티플랫폼입니다.
차세대 웹표준인 HTML5 기반으로 만들었고
스마트폰은 물론 태블릿 넷북 스마트TV 게임기...
심지어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기기에도 탑재합니다.
지난주 소스코드와 개발도구(SDK)가 공개됐으니
개발자분들은 아마 많이 알고 계실 겁니다.
안드로이드는 사실상 스마트폰용 플랫폼이죠?
각종 디바이스에 플랫폼(OS)을 탑재하는 시대에는
미흡할 수 있고, 그래서 멀티 플랫폼이 필요하겠죠.

이번에 공개된 타이젠폰은 상용 제품은 아닙니다.
개발자들한테 나눠줄 개발자용 모델입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S2 하드웨어에 타이젠을 탑재해
최초의 타이젠 디바이스를 만들어 내놓았습니다.
갤럭시S2에 탑재한 만큼 화면 크기는 4.3인치(?),
ARM 기반의 1.2GHz 듀얼코어 프로세서,
720p HD 디스플레이,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근접통신),

후면 800만 화소, 전면 200만 화소 카메라,
마이크로SD 연결 가능, 삼성 터치위즈 UI 채택 등등.

타이젠 연합(Tizen Association)에는
리눅스재단-삼성전자-인텔 외에도
SK텔레콤 NTT도코모 화웨이 텔레포니카 보다폰
오렌지 등이 합류했습니다. 제조사+이통사 연합.
반가운 소식은 미국 3위 스프린트도 가세했습니다.
컨퍼런스 개막과 동시에 타이젠을 지지한다고 선언.
사진과 동영상 올려놓겠습니다. 고맙습니다. [광파리]



* 타이젠 개발자 사이트 링크
* 천재태지님의 블로그 글 링크
* 5월2일자 지디넷코리아 기사 링크
* 타이젠 연합(Tizen Association) 사이트









(후속) 타이젠에 대한 다양한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