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인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인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2년 5월 9일 수요일

타이젠에 대한 다양한 반응

개발자용 타이젠폰 공개됐다... 후속입니다.

* 왜 타이젠이냐고? 타이젠에는 구글이 없으니까. (링크)

* 삼성은 안드로이드 의존도를 낮추려고...
 인텔은 모바일에 진출하려는 야망 실현하려고...(링크)

* 타이젠은 파급효과를 가져오지 못할 것...
 미고(MeeGo) 전철을 밟을 것이다. (링크)

* 삼성은 안드로이드 이후를 생각하고 있다. (링크)
* 안드로이드보다 쓸모가 없다. 내이티브 앱이 없다니. (링크)
* 삼성 1년내 바다OS와 바다폰 단종 예정이란 루머. (링크)
* ZTE, 화웨이, 파나소닉도 참여한다. (링크)
사이트 링크

* 바다 점유율이 윈도폰의 2배다.
 삼성이 바다를 밀어부치지도 않았는 데도 그렇다.
 이제 삼성은 타이젠 연합으로 간다. (링크)

* 바다든 타이젠이든 틈새시장 차지하는데 불과할 것이다. (링크)
* 미고는 완전히 죽었다, 타이젠 만세! (링크)
* 페이스북이 타이젠에 기대하는 건 HTML5 브라우저 때문. (링크)
* HTML5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타이젠이 1위. (링크)


* 컨퍼런스 참석자들에게 타이젠폰 프로토타입 1대씩 줬다. (링크)




* 발표내용: 타이젠 2.0이 금년말/내년초에 나온다. (링크)



개발자용 '타이젠폰' 공개됐다


개방형 멀티플랫폼 “타이젠”이 공개됐습니다.
이를 탑재한 개발자용 타이젠폰도 나왔습니다.
어제 아침 10시 타이젠 개발자 컨퍼런스 개막.
미국 샌프란시스코 시간으론 7일 저녁 6시.
리눅스재단-삼성-인텔이 주도하는 컨퍼런스죠.
타이젠 공동의장 회사인 삼성과 인텔 간부가
기조연설을 하기로 돼 있었는데
삼성전자 최종덕 부사장 연설은 하루 연기돼
8일 오전에 있었습니다. 한국시간 9일 새벽.

놀라운 것은 한국에서는 거의 강건너 불구경...
개발자용이긴 하지만 타이젠폰이 나왔는데
우리나라에선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인텔오픈소스기술센터장의 기조연설과 함께
컨퍼런스가 시작됐고... 이 무렵 폰이 공개됐죠.
타이젠톡 사이트에 타이젠폰 사진 5장 게시.
플리커에 컨퍼런스 및 폰 사진 12장 게시. 헨드헬드란 사이트에는 7분 시연 동영상 게시.

삼성 미국법인 사이트에도 사진/동영상 게시.
트위터에서 Tizen을 검색했더니
타이젠폰에 대한 반응이 각종 언어로 나오던데
안타깝게도 한글 트윗은 거의 찾지 못했습니다.

아시다시피 타이젠은 개방형 멀티플랫폼입니다.
차세대 웹표준인 HTML5 기반으로 만들었고
스마트폰은 물론 태블릿 넷북 스마트TV 게임기...
심지어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기기에도 탑재합니다.
지난주 소스코드와 개발도구(SDK)가 공개됐으니
개발자분들은 아마 많이 알고 계실 겁니다.
안드로이드는 사실상 스마트폰용 플랫폼이죠?
각종 디바이스에 플랫폼(OS)을 탑재하는 시대에는
미흡할 수 있고, 그래서 멀티 플랫폼이 필요하겠죠.

이번에 공개된 타이젠폰은 상용 제품은 아닙니다.
개발자들한테 나눠줄 개발자용 모델입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S2 하드웨어에 타이젠을 탑재해
최초의 타이젠 디바이스를 만들어 내놓았습니다.
갤럭시S2에 탑재한 만큼 화면 크기는 4.3인치(?),
ARM 기반의 1.2GHz 듀얼코어 프로세서,
720p HD 디스플레이,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근접통신),

후면 800만 화소, 전면 200만 화소 카메라,
마이크로SD 연결 가능, 삼성 터치위즈 UI 채택 등등.

타이젠 연합(Tizen Association)에는
리눅스재단-삼성전자-인텔 외에도
SK텔레콤 NTT도코모 화웨이 텔레포니카 보다폰
오렌지 등이 합류했습니다. 제조사+이통사 연합.
반가운 소식은 미국 3위 스프린트도 가세했습니다.
컨퍼런스 개막과 동시에 타이젠을 지지한다고 선언.
사진과 동영상 올려놓겠습니다. 고맙습니다. [광파리]



* 타이젠 개발자 사이트 링크
* 천재태지님의 블로그 글 링크
* 5월2일자 지디넷코리아 기사 링크
* 타이젠 연합(Tizen Association) 사이트









(후속) 타이젠에 대한 다양한 반응

2012년 2월 26일 일요일

[MWC 2012 ⑤] 어떤 스마트폰 선보일까?

이번 MWC에서는 어떤 스마트폰이 나올까요?
삼성은 갤럭시S3 공개하지 않을 거라고 했고
그 대신 갤럭시노트 큰 모델을 낸다고 하죠.
죽다 살아난 폰 메이커들이 무얼 내놓을지
PC 메이커들이 어떤 스마트폰을 내놓을지...
발표된 내용과 외신을 종합해서 간추립니다.

LG전자는 MWC 개막 전에 이미 많이 공개했죠.
옵티머스 3D 맥스, 옵티머스 뷰, L스타일 폰...
핵심은 옵티머스 4X HD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1.5GHz 엔비디아 테그라3 쿼드코어 프로세서,
OS는 아이스크림 샌드위치(안드로이드 4.0),
4.7인치 1280x720 트루 HD IPS 디스플레이,
뒷면 800만 화소, 전면 130만 화소 카메라.
배터리 2150mAh. 두께는 8.9mm.

HTC도 이미 3개의 스마트폰을 공개했습니다.
HTC One, S, E, 그리고 X.
모두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탑재. 2분기 발매.
HTC One X는 1.5GHz 쿼드코어 테그라3 탑재.

노키아는 적어도 2개의 원도폰을 선보이겠죠.
중가 윈도폰 루미아 610과
루미아 900(미국용)의 글로벌 버전을 내놓겠죠.
하이엔드 카메라를 탑재한 폰도 궁금합니다.
그게 최후의 심비안폰일 거라고 하는데...

소니는 에릭슨과 작별했으니 어떤 모습으로 나올지.
엑스페리아 U, 엑스페리아 P 안드로이드폰 기대.
P는 4인치에 1GHz 듀얼코어 ST-에릭슨 프로세서,
U는 3.5인치에 500만 화소...좀더 저렴한 모델.
소니가 윈도폰을 내놓을 가능성은 혹시 없을까요?

구글에 팔린 모토로라는 인텔과 손을 잡았습니다.
인텔 메드필드 x86 탑재 폰을 내놓을 것이란 소문.
OS는 아이스크림 샌드위치(안드로이드 4.0).
인텔이 모토로라 손 잡고 폰 시장에 진입하는 셈.

아수스는 말로만 떠들었던 패드폰을 들고 나오겠죠.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탑재한 “패블릿”(폰+태블릿).
17초짜리 티저 동영상을 보면
"Twice the Detail, Twice the Fun"이라고 썼습니다.
고화질 디스펠리이 태블릿을 암시하는 걸까요? [광파리]


2012년 1월 11일 수요일

인텔과 레노버가 폰 시장에 뛰어든다


인텔이 모바일 시장에 팔 걷고 뛰어드나 봅니다.
최고경영자(CEO) 폴 오텔리니의 CES 기조연설.
모토로라와 장기 제휴 맺고 모토로라 제품에
인텔 아키텍처를 탑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폰을 또하나의 컴퓨팅 플랫폼으로 본다,
스마트폰 컴퓨팅 능력이 1969년 NASA를 능가한다,
이런 얘기도 했습니다.
이번 제휴에 대한 모토로라 CEO의 설명:
“multiyear, multidevice strategic partnership”.
금년 2분기에 아톰 탑재한 폰을 내놓겠다고.

중국 레노버 부사장은 스마트폰 K800 소개.
인텔 아키텍처 기반으로 만든 첫 스마트폰.
인텔의 “메드필드“ 아톰 프로세서와
안드로이드(진저브레드? ICS?) OS 탑재.
4.5인치, 두께 10mm, 800만 화소 카메라, NFC,
중국에서 2분기에 차이나유니콤을 통해 발매.
메드필드 아톰 프로세서는 싱글코어 1.6GHz...
전력 효율이 좋고 맥아피 보안 기능 탑재.
레노버는 메드필드/안드로이드 태블릿도 공개.

인텔이 모바일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PC 메이커인 레노버가 폰을 만들겠다고 하고. [광파리]


참고 기사: ars technica, Mashable, ZDNet